본문 바로가기

약초기(藥草記)

무심한(無心閑)산행...90.

병풍취를 보러 떠난 산행...

가는 길은 험했어도 군락지를 알고 가니 어렵지 않게 보았다.

 

종심깊게 계곡을 거슬러 올라가는 산행...

계곡 주변에 보이는 다양한 산야초들과의 만남.

거칠게 보낸 하루였지만 시간이 가는 줄 몰랐다.

그리고...

 

*2016년 4월 27일(수,음력:3.21),10:03'-18:54'(08시간 51분),이동거리(도상): 9.3km,출발지고도: 369m-최고고도: 1,352m. 강원도.단독산행.

 

▲△ 병풍취(고도:912m)

병풍취의 어린순이다.이 번에 알게 된 것은 병풍취가 항상 고산지역에만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지난 번 산행을 하기 전에 나의 경험으로 볼 때 병풍취 자생지는 900m 전후의 지역이 가장 낮은 지역이었으나 지금은 500m 이하에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곳도 아직 어린순들이 대세여서 채취시기로는 이르다.

 

▲△ 돌단풍.

 

▲△ 바위떡풀.

 

▲△ 철쭉.

 

▲△ 매발톱.

 

▲△ 매발톱꽃 봉오리

 

▲△ 금낭화.

 

▲△ 귀룽나무꽃.

불친이신 검객님께서 알려주셨다.역시 모르는 것을 바로 알게되니 너무 좋다.꽃의 향기가 연한 아카시아향과 닮았다.

 

▲△ 삼색병꽃.

 

▲△ 박쥐취.

 

▲△ 계곡하류에서 본 숲의 분위기.

 

▲△▽▼ 두릅(고도: 660m)

계곡 중하류 지점의 두릅은 이미 시즌을 넘겼다.보이는 것은 그나마 늦게 나온 것들이다.

 

 

 

▲△ 참당귀순.

참당귀가 가끔씩 귀하게 보였다.벌써 낮은 지역에는 새순이 나왔다.점심 쌈밥용으로 새순만 조금 채취했다.

 

▲△ 바위위에 모여있는 풀솜대.

 

▲△ 숲의 분위기(고도: 885m)

사진상으로는 경사가 표현되지 않았으나 경사가 조금 심한 곳이다.저 위에 병풍취 군락지가 있다.

 

▲△▽▼ 병풍취 군락지(고도:912m)

병풍취와 박새 그리고 미치광이풀이 세력이 강한 곳이다.중간중간에 이 세력들이 힘겨루기를 하고있다.

 

 

 

 

 

▲△ 박새옆에 자리잡은 병풍취(고도:912m)

병풍취가 다 자라면 결코 박새에게 힘으로 밀리지 않는다.아주 힘차게 올라오는 병풍취의 생명력이 느껴진다.

 

▲△ 풀솜대.

점심식사터 옆에 자리잡고 있어서 수난을 당했다.블친이신 붕선님의 권유로 이 번 쌈밥채소로 시험삼아 먹어보았다.평가는 긍정적이다.

약간 풋내가 나서 조금 입맛 길들이기를 해야겠지만 우선 나쁘지 않았다.

 

▲△ 진수성찬 점심 한 끼.

결코 소박하지 않다.10만원 짜리 점심식사라 해도 괜찮다 싶다.

 

*병풍취,참당귀순,풀솜대를 재래식된장에 쌈으로 먹는 즐거움.:6만원.

*맑고 시원하며 물소리까지 마음을 정화시키는 음악소리로 들리게 하는 계곡 물가 자리:3만원.

*정성담긴 밥과 지역색 나는 막걸리 한 병:1만원.

 

 

▲△ 병풍취.

작은 어린순을 쌈밥용으로 조금 채취해서 먹었다.병풍취 고유의 맛과 향기는 어린순일 때 더 제대로 느낄 수 있다.경험으로 볼 때 거의 다 자란 것은 맛에서 조금 덜하다.

 

▲△▽▼ 큰앵초.

어린순일 때 병풍취와 비슷하다.큰앵초도 약간 습한 곳에서 자라며 5월 초면 예쁜 꽃을 볼 수 있다.

 

▲△ 큰앵초 어린순.

 

▲△ 계곡 중상류지점(고도: 944m)

지난 겨울 얼음이 아직도 조금 보였다.

 

 

▲△ 두릅(고도:992m)

 

▲△ 계곡 중상류지역(고도: 1,004m)

 

▲△ 두릅(고도:1,004m)

 

 

 

▲△ 참당귀(고도:1,057m)

낮은 지역과 달리 이제 막 순을 내밀었는지 연해보인다.

 

▲△ 계곡 상류지역에서 내려다 본 풍경(고도:1,148m)

 

 

▲△ 는쟁이냉이(산갓).

 

▲△ 두릅(고도:1,224m)

올라오면서 두릅순을 본 결과 1천미터 이상의 지역에서는 두릅순이 아직 작아서 채취할 수 없는 크기였다.

 

▲△▽▼ 계곡 상류지역에서 본 풍경.

 

 

▲△ 계곡 최상류지점에서 올려다 본 풍경(고도:1,261m)

저 넘어서 바로 능선정상이다.

 

 

▲△ 박새(고도:1,304m)

고도가 높아지면서 보이는 것들은 제한적이다. 그 중에서 박새의 세력이 가장 강했다.

 

▲△ 곰취(고도: 1,304m)

박새가 세력을 강하게 키우는 곳에 이제 막 순을 내밀고 있는 곰취도 보였다.

 

▲△ 얼레지꽃(고도:1,351m)

능선에 올라서자 얼레지꽃들이 반겨주었다. 이 후로는 능선길로 하산했다.

 

END

'약초기(藥草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심한(無心閑)산행...93.  (0) 2016.05.08
무심한(無心閑)산행...91.  (0) 2016.05.01
무심한(無心閑)산행...88.  (0) 2016.04.20
무심한(無心閑)산행...87.   (0) 2016.04.15
무심한(無心閑)산행...86.  (0) 2016.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