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단풍 산행...2 >
18년 단풍산행 두 번째 이야기...^^*
소풍산기 100번째 산행기록.!!!.
"단풍과 약용버섯"을 보러 산에 들다..^^*
단풍이 절정기에 들어섰다.
산에 들어서기 전에 온도를 보니 영상 3도.
비 온 후 단풍 든 능선길과 너덜겅 습지 속을 거닐어 보기...^^*
박달상황버섯, 말굽버섯, 병꽃상황버섯을 보는 즐거움 !!!.
약용버섯들도 요즘은 귀하다.
*2018년 10월 19일(금),시간:08:03'-14:36'(06시간 32분),이동거리(도상): 6.4km,출발지고도: 556m,최고고도: 1,009m. 강원도 홍천.단독산행.
▲△ 산정에서 본 늦가을 풍경.
비가 온 다음날은 산행하기에 딱 좋다.미세먼지도 없고 청명한 날씨에 원거리 시야도 좋아서 눈이 즐겁다.
▲△ 산행지 입구.
날씨가 쌀쌀했다.출발 할 때에는 약간 춥기도 했다.
▲△ 능선 오름길.
▲△ 낙엽의 향연.
마구마구 떨어진 낙엽은 양탄자처럼 오름길을 덮었다.
▲△ 산부추.
▲△ 구절초.
▲△▼▽ 능선길에서 본 풍경들.
▲△ 석간수.
▲△▽▼ 산정에서 본 풍경들.
▲△ 박달상황버섯.
너덜겅 습지에 찾아 내려가다가 만난 박달상황버섯.적당한 자생조건이 아니었는지 이미 썩었다.상황버섯은 바람이 잘 통하고 습도도 적당하게 유지되어야 최상의 상태로 크게 자란다.
▲△ 말굽버섯.
버섯이 귀한 산인데 그래도 적당한 조건이 맞으면 버섯이 보인다.
▲△ 너덜겅 습지.
▲△ 물박달나무에 붙은 박달상황버섯.
너덜겅 습지나 바위가 많은 지역에는 물박달나무가 많고 주의 깊게 살펴보면 박달상황버섯도 만날 수 있다.
▲△▼▽ 병꽃상황버섯들.
병꽃나무가 많다고 해서 다 상황버섯이 붙는 것은 아니다. 적당한 방향, 습도, 고도가 맞아야만 상황버섯이 붙는다.
병꽃상황버섯은 작은 것은 10원짜리 동전만하고 커봐야 애기 주먹만하다.
▲△ 성체가 된 병꽃상황버섯.
경험상 근거에 의하면 거의 모든 상황버섯은 위에 사진처럼 갓의 하단면은 노랗거나 갈색톤으로 일정하지만 갓상단은 검게 변한 것이 다 자란 것이다.
즉, 갓상단이 노랗거나 갈색톤에서 서서히 검게 변하여 성체가 된다.
갓상단이 아직 검게 변하지 않은 것들은 채취하기에 이른 유생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약용버섯이 그렇지만 덜 자란 유생들은 약용가치가 떨어져 채취하기에 이르다.
병꽃상황버섯도 같다.
특히 병꽃상황버섯은 상대적으로 다른 약용버섯에 비해서 너무 작아서 채취 후 손질하는 게 매우 어렵다.
병꽃상황버섯은 채취보다 손질이 더 어려운 버섯이다.
END.
'약초기(藥草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山中菌 : 2018년 소풍산기 하반기 결산. (0) | 2018.12.13 |
---|---|
여여산기(如如山記)...1 (0) | 2018.11.20 |
소풍산기(逍風山記)...99. (0) | 2018.10.13 |
소풍산기(逍風山記)...98. (0) | 2018.10.04 |
소풍산기(逍風山記)...97. (0) | 2018.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