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화천 ▶
【 는쟁이냉이와 봄 어린순들 】
"봄에는 봄이 서둘러 오는 남녘이 부럽고,
가을에는 가을 버섯이 서둘러 오는 북녘이 부럽다.!!!."
* 2019년 4월 11일(목),시간:08:40'-14:00'(05시간 20분),이동거리(도상): 4.8km,출발지고도: 382m,최고고도: 708m. 기온:영상4도, 강원도 화천지역.
▲▲▲ 계곡입구.
화천의 종심 깊은 계곡이다. 계곡의 길이만 해도 4km이상 된다. 올해는 가물어서 물의 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나 언제와도 물이 풍부한 지역이다.
▲▲▲ 아름다운 풍경.
매년 체감하지만 오히려 인제나 홍천지역보다 봄의 속도가 1주일 정도 늦은 지역이다.
▲▲▲ 돌단풍.
양지 쪽만 꽃이 피고 음지 쪽은 아직 검붉은 순을 이제 막 내밀고 있었다.
▲▲▲ 생강나무꽃.
▲▲▲ 멸가치.
▲▲▲ 풀솜대.
개인적인 기준이지만 봄나물 중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풀솜대도 순을 내밀었다.
▲▲▲ 금낭화.
▲▲▲ 점현호색.
▲▲▲ 참당귀.
드디어 참당귀도 순을 내밀었다. 벌써 참당귀순을 재료로 하는 쌈밥산행이 기다려진다.
▲▲▲ 매발톱.
매발톱도 물가를 좋아하는 식물이다.상대적으로 햇볕이 많이 드는 바위틈에서 잘 자란다.
▲▲▲ 산수국.
여름이 피는 꽃이지만 꽃이 건조하여 겨울을 보내고 이렇게 초봄에도 꽃을 볼 수 있다.
▲▲▲ 는쟁이냉이가 군락을 이루고 있는 지류계곡 입구.
바위가 많은 지역이고 물은 바위 아래에서 작은 소리를 내며 흘러 내린다.습기가 많은 지역이다보니 바위에는 이끼가 많다.
▲▲▲ 는쟁이냉이 1차 군락지.
바위 틈에서 잘 보이지 않지만 찾아보면 는쟁이냉이를 발견할 수 있다.올해는 지난해에 비해서 개체수가 적었다.
▲▲▲ 는쟁이냉이.
산갓나물이라고도 불리는 는쟁이냉이는 이른 봄에 맛 볼 수 있는 몇 안되는 나물이다. 채취의 적기는 약간 지나서 벌써 꽃대를 올리고 있다.
▲▲▲ 두릅나무.
두릅의 순을 맛 보려면 2주일 이상 더 기다려야 한다.
▲▲▲ 미치광이풀.
봄에 일찍 순을 내미는 식물 중에 하나다. 하루이틀 전에 내린 눈으로 인해서 약간 곤란을 겪겠지만 오는 봄은 막을 수 없으니 문제는 없다.
▲▲▲ 눈이 살짝 내린 계곡 상류지역.
눈으로 인해서 더이상 는쟁이냉이등 식물들을 볼 수 없었다. 미련없이 하산했다.
END.
'약초기(藥草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여산기(如如山記)...4. (0) | 2019.04.20 |
---|---|
여여산기(如如山記)...3. (0) | 2019.04.17 |
山中菌 : 2018년 소풍산기 하반기 결산. (0) | 2018.12.13 |
여여산기(如如山記)...1 (0) | 2018.11.20 |
소풍산기(逍風山記)...100. (0) | 2018.10.20 |